controller (2)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MVC] Controller에서 여러 Service 호출? - Service는 단순하게 하나의 트랜잭션을 갖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트랜잭션이란 한 번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말하며, 실행 중에 오류가 나면 원래의 상태로 rollback해야 한다. 따라서 Service A와 Service B는 실행 중에 오류가 나도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한 Controller에서 여러 Service를 호출하는 것은 딱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Web] MVC 패턴을 알아보자 MVC 패턴 MVC 패턴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 요소를 3가지 역할로 구분한 패이다. 비즈니스 로직과 UI 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를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다. 1. Model 데이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응된다. Service, DAO 등의 '비즈니스 로직'이 이 Model 계층에 가깝게 만들어져야 효율적인 구성이 된다. 2.View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3. Controller 모델과 뷰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뷰에서 사용자의 데이터 선택이나 입력, 수정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러가 해.. 이전 1 다음